이더넷의 아쉬운 점
- 통신선이 필요한 점.
- 연결된 컴퓨터는 자유럽게 이동하기 어려움.
but,
공간의 제약을 무선통신으로 해결 할 수 있음.
무선 시스템은 무선 전자기파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므로 신호가 터지는 장소라면 어디서든 통신할 수 있음.
무선 네트워크의 범위는 최대 수십미터임.
무선 시스템 :
-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신호를 전달하고, 전자기파는 헤르츠 단위로 측정되는 특정 주파수의 파동.
-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범위인 스펙트럼과 전송에 사용할 수 있는 전력량에 관한 엄격한 규칙에 따라 작동한다.
컴퓨터용 무선 표준 공식 이름은 IEEE 802.11이지만, 통상적으로 와이파이라 부르고 있다.
와이파이는 산업 단체인 와이파이 연합의 등록 상표다.
IEEE는 전기전자기술자협회라는 전문가 단체이고, 802.11은 표준의 번호이다.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세가지 무선 시스템.
- 블루투스는 근거리 애드 훅 통신을 위해 만들어졌으며 802.11 무선 통신과 같은 2.4GHz 주파수대역을 사용.
- RFID는 전자 도어록, 다양한 상품의 식별 태그, 자동 통행료 정수 시스템, 반려동물에 이식된 칩, 심지어 여권같은 증명서에 사용되는 저전력 무선 기술.
- GPS는 자동차와 휴대전화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 흔히 있는 중요한 단방향 무선 시스템.
휴대전화 명칭 : 셀룰러폰(cellular phone)
최초의 상용 휴대전화 시스템은 1980년 초에 개발되었는데, 당시에는 무겁고 부피가 컸음.
우선 휴대전화용 스펙트럼과 전파의 범위는 모두 제한되어 있어 지리적 영역을 가상의 육각형에 가까운 '셀'로 나눈다. 각 셀에는 기지국이 있고, 휴대전화는 가장 가까운 기지국과 통신하며, 한 셀에서 다른 셀로 이동할 때 진행중인 통화는 이전 기지국에서 새 기지국으로 넘어간다.
휴대전화는 일반 전화망의 일부지만, 전화선 대신 기지국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되는데, 휴대전화의 핵심은 이동성이다.
휴대 전화 간에는 정보를 전달하기에는 대역폭이 제한된 좁은 무선 주파수 스펙트럼을 나눠씀.
휴대전화는 배터리를 사용하므로 낮은 전파 세기로 작동해야 하며, 다른 기기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송신 파워가 법으로 제한됨.
각 휴대전화에는 IMEI라는 15자리 고유 식별번호가 있는데, 이는 이더넷 주소와 비슷함.
휴대전화가 커지면 식별번호를 브로드캐스트하고, 가장 가까운 기지국이 그 정보를 받아 홈 시스템을 통해 전화 유효성 검사함.
휴대전화는 정치, 사회적 문제를 야기한다. 그중 하나는 스펙트럼 할당임.
미국은 정부에서 할당된 주파수 사용을 대역당 최대 두회사로 제한함.
따라서 스펙드럼은 귀한 자원.
셀타워의 위치 때문에 갈등이 때때로 발생.
휴대전화 셀타워는 옥의 구조물로서 미관상 좋지 않음.
3G, LTE, 4G, 5G
21세기 중 현 시대에서는 편리하게, 당연하게 대역폭을 접하는데,
802.11을 지원하는 가정용 무선 시스템은 최대 600Mbps까지 작동할 수 있다지만, 현실 속도는 이에 비해 낮다.
유선 이더넷은 일반적으로 1Gbps정도.
요즘의 휴대전화는 4G라는 표준을 사용하고, 산업 전반적으로 다음 세대인 5G로 옮겨가는 중이지만,
5G가 보편화? 되지 않아 제대로 쓰이지는 못하고 있다.
- 3G는 아직 존재하지만 미국에서는 사라지고 있는 추세이고,
- 4G는 자동차나 기차처럼 이동하는 환경에서는 약 100Mps, 정지되어 있거나 느리게 움직이는 환경에서는 1Gbps를 제공한다.
LTE는 장기적인 진화라는 뜻이며, 표준은 아니고 3G -> 4G로 가는 과정의 로드맵이라 보면 되겠다.
- 5G는 표준을 사용하는 휴대전화는 기존 표준보다 더 높은 대역폭을 제공하고, 명목상 속도 범위는 5Mbps에서 10Gbps까지 달한다.
'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 전송 핵심 프로토콜 TCP / IP (0) | 2022.08.23 |
---|---|
인터넷 프로토콜 (0) | 2022.08.23 |
자바스크립트, 파이썬 (0) | 2022.08.16 |
운영체제 (0) | 2022.08.15 |
가상 운영체제와 가상 머신 (0) | 2022.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