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24)
첫 협업 미니 프로젝트, 클론 코딩, 실전 프로젝트의 협업 중 미니 프로젝트란 첫 협업! API 설계, ERD다이어그램 설계라는 것도 처음 보았고, 그 안에서 업무를 나누는 것이 신기하면서도 역할 분담이 수월해 보였고, 수월해 보였기에 이렇게 분담하는 것이 좋겠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CRUD도 많은 생각을 해야하고, 흐름도 잘 알지 못할 정도였기에, CRUD도 쉽지 않았기에 기초 기본인 CRUD를 맡았다. 협업은 많은 노동자들이 협력하여 계획적으로 노동하는 일이라는 뜻으로 계획적으로 노동하는 일이기에 계획을 공유하고, 업무마다의 계획의 진행을 확인하고 더딘 진행의 업무를 도와가며 했었다. 프로젝트를 나눠 진행하는 협업은 생각보다 많은 소통이 필요했다. 말이 어색하고 필요한 툴, 기능, 기술, 소스(코드) 단어,..
Domain Name 도메인 네임 Domain -> Domain 은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를 사람이 쉽게 기억하고 입력할 수 있도록 문자(영문,한글)로 만든 인터넷 주소이다. *도메인 종류 - 기본 도메인 : 처음에 신청한 기본 웹서버의 이름 (설정한 ip주소의 서버로 이동함) - 멀티 도메인 : 기본 도메인에 호스트 이름만 다르게 붙여서 사용하는 여러 개의 도메인 - 서브 도메인 : 멀티 도메인과 거의 같으며, 도메인명으로 사용할 수 있는 문자의 개수 내에서 원하는 만큼의 호스트 이름을 얼마든지 붙여 서 사용할 수 있는 도메인 - 가상 도메인 : 기본 도메인외에 별도의 도메인으로 기본 도메인과 같은 홈페이지에 연결된 도메인 *예시 www.one2ye-5ni.shop www -> 호스트 이름 one2ye-5ni.shop -> 도메인 도메..
데이터 전송 핵심 프로토콜 TCP / IP TCP/IP 스택 컴퓨터끼리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해 그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규칙인 프로토콜을 따라야합니다. 컴퓨터들이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통신 규약을 의미합니다. 인터넷은 전 세계 네트워크 표준으로 자리 잡았고, 인터넷의 통신 프로토콜로 사용되는 TCP/IP는 실질적으로 인터넷 표준 프로토콜로 자리잡았습니다. 위의 그림은 TCP/IP의 규칙의 종류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처럼 TCP/IP 프로토콜은 굉장히 많은 규칙의 집합입니다. 이 네트워크는 물리적인 통신선으로 어떤 재질로 만들어야 하는가에 대한 규칙. 1:1, 1:N 그리고 N:N 네트워크에서 대화 상대를 어떻게 판단하는가에 대한 규칙. 데이터 송수신할 때의 바이트 오더에 대한 규칙 등등이 그 예입니다. TCP/..
인터넷 프로토콜 HTTP 웹의 기본 지식 - IP, TCP - 기본 개념 : - 송/수신 호스트 (장치)가 패킷 교환 네트워크에서 정보를 주고받는데 사용하는 프로토콜. - OSI 네트워크 계층에서 주소 지정, 패킷 분할 및 조립 기능을 담당. - 표준 프로토콜은 IPv4이며 IPv6 로 전환 중. OSI 계층과 TCP/IP 계층차 - TCP / IP 계층이 먼저 개발되었음으로 OSI과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는다. - 두 모델 모두 계층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 OSI에 비해 TCP/IP는 계속해서 표준화되며 신뢰성이 높다. - OSI가 장비 개발과 통신 자체에 대한 표준화를 제시한다면 TCP/IP가 실질적인 통신에 사용된다. TCP / IP 계층 - 응용 계층 서버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메세지..
WIFI 이름, cellular phone, 3G- LTE- 4G- 5G 이더넷의 아쉬운 점 - 통신선이 필요한 점. - 연결된 컴퓨터는 자유럽게 이동하기 어려움. but, 공간의 제약을 무선통신으로 해결 할 수 있음. 무선 시스템은 무선 전자기파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므로 신호가 터지는 장소라면 어디서든 통신할 수 있음. 무선 네트워크의 범위는 최대 수십미터임. 무선 시스템 : -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신호를 전달하고, 전자기파는 헤르츠 단위로 측정되는 특정 주파수의 파동. -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범위인 스펙트럼과 전송에 사용할 수 있는 전력량에 관한 엄격한 규칙에 따라 작동한다. 컴퓨터용 무선 표준 공식 이름은 IEEE 802.11이지만, 통상적으로 와이파이라 부르고 있다. 와이파이는 산업 단체인 와이파이 연합의 등록 상표다. IEEE는 전기전자기술자협회라는 전문가 ..
자바스크립트, 파이썬 자바스크립트 백엔드 개발에 주로 사용되는 파이썬과 달리 자바스크립트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백엔드와 프론트엔드 모두에 사용됨. 자바스크립트는 대표적인 스크립팅 언어로 웹 사이트와 앱 프로세스를 자동화 해 사용자가 더 쉽게 작업을 수행하게 한다. 브라우저에 동적 기능을 제공하는 언어로, 웹 개발, 사용자 대면 기능 및 서버 구축에 사용됨 파이썬 파이썬은 문법이 간결하고 인간의 사고 체계와 닮은 표현 구조로 '배우기 쉬운' 프로그래밍 언어로 알려져 있다. 이와 함께 파이썬은 데이터 과학, 인공지능(AI), 기계학습(ML), 컴퓨터 과학 교육, 컴퓨터 비전 및 영상 처리, 의학, 생물학, 천문학 등 과학적이고 전문화된 응용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뛰어난 기능으로 전 세계에서 가장 선호되는 프로그래밍 언어 중 하나..
운영체제 프로그램 : - 어떤 작업을 위해 실행할 수 있는 파일 프로세스 : - 컴퓨터에서 연속적으로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 - 동적인 개념으로는 실행된 프로그램을 의미 - 디스크로부터 메모리에 적재되어 CPU의 할당을 받을 수 있는 것 - 메모리에 올라와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의 인스턴스(독립적인 개체) - 운영체제로부터 시스템 자원(주소 공간, 파일, 메모리 등)을 할당받는 작업의 단위 - 함수의 매개변수, 복귀 주소와 로컬 변수와 같은 임시 자료를 갖는 프로세스 스택과 전역 변수들을 수록하는 데이터 섹션을 포함 - 프로세스 실행 중에 동적으로 할당되는 메모리인 메모리 힙을 포함 - 프로그램과 프로세스 다름 - 프로그램은 명령어를 내용으로 가진 디스크에 저장된 파일, 수동적인 존재(passive entity)..
5주차 회고 1. CORS : (Cross-Origin Resource Sharing,CORS) 란 다른 출처의 자원을 공유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권한 체제를 말함. - 웹 컨텐츠에서의 출처를 의미 - 스킴 + 호스트 + 포트 - 같은 출처를 가졌다 = 스킴, 호스트, 포트가 모두 일치한다 엄연히 protocol과 scheme은 다른 개념임. 여기선 http, https를 기준으로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프로토콜과 스킴을 혼용해서 사용함. • 스킴 == 프로토콜 --> http, https, ftp, ... • 스킴 != 프로토콜 --> file, magnet, mailto, ... 한 웹 어플리케이션이 다른 출처에 존재하는 자원에 접근하고 싶다면, 접근 권한을 줄 수 있도록 브라우저에 알려주는 체제인 CORS를 이용..